본문 바로가기

Life

컬링 규칙 하는법

컬링 규칙 하는법



무한도전에서 컬링을 하는걸 보고나서야 컬링 규칙이나 하는법등을 아주 대충 알수 있었는데요




평창올림픽 정식종목인 만큼 어떤방식으로 진행되는건지 정확히 알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포스팅하면서 공부한번 해볼려고 합니다 ㅋ 혹시 제대로 모르시는분들은 저랑 같이 한번 알아보시죠 ㅋ 



컬링은 2인 또는 4인이 한 팀으로 구성되며, 각 팀이 번갈아 가며 스톤(Curling Stone)을 던집니다. 


이 때 선수는 스톤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함께 움직이며 ‘브룸’(broom)이라 불리는 솔로 얼음면을 스위핑(Sweeping)하여 이용해 스톤의 진로 방향과 속도를 조절합니다. 


1998년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대회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, 평창동계올림픽에서는 남자,여자, 믹스더블 경기까지 총 3개의 세부종목이 진행됩니다. 


컬링경기장의 각 시트의 규격은 45.720m(길이) x 5.00m(넓이)이며 두 개의 하우스(House) 중심 사이의 거리는 34.747m이고 하우스의 직경은 3.658m입니다. 






주요 장비로는 스톤과 브러시/브룸이 있습니다.


※ 스톤(Curling Stone) : 원둘레 91.44cm 이하, 높이 11.43cm 이하, 무게 최대 19.96kg, 최소 17.24kg ※ 브러시/브룸(Brush/Broom) : 이동 중인 스톤 앞에서 얼음을 스위핑 하는 장비



남자/여자 경기

  • 한 경기는 10엔드(End)로 이뤄지며 각 팀은 38분의 thinking time을 부여 받아 총 경기 시간은 약 3시간 소요
  • 각 팀은 5명(후보 1명)의 선수로 구성
  • 한 팀 당 8개의 스톤을 상대팀과 한 개씩 번갈아 가며 투구(선수 당 1개씩 한 엔드에 2회 투구)
  • 16개의 스톤이 모두 투구되면 해당 엔드의 점수가 결정되고 엔드가 종료됨





믹스더블

  • 한 경기는 8엔드(End)로 이뤄지며 각 팀은 22분의 thinking time을 부여 받아 총 경기 시간은 약 2시간 소요
  • 각 팀은 2명의 선수(남자 1명, 여자 1명)로 구성
  • 각 팀은 매 엔드마다 5개의 스톤을 투구
  • 한 선수가 1번과 5번 스톤을 투구하며 다른 선수는 2번, 3번, 4번 스톤을 투구, 1번 스톤을 투구할 선수는 엔드마다 바꿀 수 있음
  • 10개의 스톤이 모두 투구되면 해당 엔드의 점수가 결정되고 엔드가 종료됨
  • 각 팀당 한 개의 스톤을 미리 두고 엔드를 시작함

이렇게 컬링 규칙 하는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ㅋ 어디가서 모르는사람들한테 잘 알려줄수 있는 수준까지 되셨죠?ㅋ



반응형